-
- 통합관리자
- 2021. 09. 29
- 222061
-
학부생부터 대학원생까지 연구 성과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학술대회서 7개 논문 발표상 휩쓸어 [2021-9-29]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학생들의 연구력이 학계와 산업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특히 대학원생은 물론 학부생까지 연구력을 인정받고 있다. 올해 열린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1 전시회, 워크숍 및 논문 발표회(KIEEME Annual Summer Conference 2021)’에서 영남대 신소재공학부 학생들이 무더기로 논문 발표상을 수상한 것.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박양규(26, 석사4기) 씨가 최우수발표상을 수상한 것을 비롯해 학부생 부문에서 최우수발표상 1개 팀, 우수발표상 5개 팀 등 무려 7개의 상을 휩쓸었다.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양규 씨는 <고유전율 산화하프늄(HfO₂)을 사용한 IZTO(Indium Zinc Tin Oxide)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온도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최우수발표상를 수상했다. 박 씨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자의 핵심 부품인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층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산화하프늄을 실온에서 증착한 뒤 급속열처리(RTA)를 이용해 열처리 온도에 따른 IZTO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신소재공학부 4학년 이현영(23) 씨 등 학부생 11명이 한 팀을 이뤄 지난 학기 캡스톤디자인 과제로 수행한 <자동차 진동 에너지 변환을 위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에 관한 연구>도 이번 학술대회에서 학부생 경진대회 최우수발표상을 수상했다. 학부생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일상에 존재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저장할 수 있는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자동차 분야에 접목시켰다. 이들은 직접 LED 소자를 구동시킴으로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성과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이밖에도 영남대 신소재공학부 학생들은 <망간(Mn) 도핑이 반강유전성 PLZT[납(Pb), 란타넘(La), 지르코늄(Zr), 티타늄(Ti), 산소(O) 화합물] 후막의 에너지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전기변색소자의 전해질을 통한 내구성 향상 연구> 등의 연구 성과로 우수발표상을 받았다. 특히 영남대 신소재공학부 학생들의 연구는 반도체, 전기자동차, 사물인터넷 등 차세대 산업에 활용 가능한 고성능 신소재를 비롯한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로, 학술적인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실제 산업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상당히 주목받고 있다. 영남대 신소재공학부 고영건 학부장은 “학부생 때부터 캡스톤디자인 과제 등을 꾸준히 수행하며 연구력을 쌓고 있다. 대학원생은 물론 학부생들이 대외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고 있는 이유다”면서 “학생들이 창의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교육·연구 인프라를 갖출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통합관리자
- 2021. 09. 29
- 217779
-
- 통합관리자
- 2021. 09. 28
- 167260
-
- 통합관리자
- 2021. 09. 28
- 148607
-
인도, 네팔 등 해외 인재들, 이용록 교수 연구실에서 수학하며 우수 연구성과 석·박사과정 중 집필 논문 최근 1년간 11편 국제저명저널 게재 해외 주요 대학, 연구소, 다국적 기업 등에서 러브콜 [2021-9-28] <영남대 화학공학부 유기소재합성연구실(앞 줄 가운데 이용록 교수)> 영남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다국적 연구진들이 국제저명저널에 잇달아 논문을 게재하며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들은 인도, 네팔, 필리핀, 파키스탄 등에서 영남대로 유학 온 글로벌 인재들이다. 이들은 영남대 화학공학부 유기소재합성연구실(지도교수 이용록)에서 수학하고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들은 최근 1년간 11편의 논문을 상위 10% 이내 국제저널에 게재했고, 이 논문 중 일부는 해당 저널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대표적으로 인도 출신의 톰발 라주 시타람(Thombal Raju Sitaram) 박사는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방향족 고리 베타-하이드록시 그룹 도입> 연구 결과를, 네팔 출신의 데브코타 쉬리다르(Devkota Shreedhar) 박사는 <루테늄 촉매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 인돌 위 아마이드 그룹 생성>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케미칼 사이언스(Chemical Science)’에 각각 게재했다. 또 파키스탄 출신인 아크탈 무하마드 사이드(Akhtar Muhammad Saeed) 박사와 잠셰드 사나(Jamshaid Sana) 박사는 선크림에 활용 가능한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합성> 연구와 <인듐 촉매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 피리딘 합성>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그린 캐미스트리(Green Chemistry)’ 에 각각 게재했다. 이밖에도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화학분야 국제저명학술지 ‘에이씨에스 카탈리시스(ACS Catalysis)’와 ‘오가닉 레터스(Organic Letters)’를 비롯해 에너지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캠서스캠(ChemSusChem) 및 유기합성 분야 저명학술지 ‘어드밴스드 신세시스 카탈리시스(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등에 잇달아 연구논문을 게재하며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이들을 지도한 영남대 화학공학부 이용록 교수는 “이들은 새로운 유기반응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여러 유형의 신물질을 합성해 의약품 및 전자소재 등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성과를 냈다”면서 “이들이 개발한 신물질은 자외선차단, 형광, 항산화 및 항박테리아에 강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선크림, 형광센서, 의약품 개발 및 전자재료 등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다”고 연구 성과를 밝혔다. 이들 영남대 출신 석·박사들은 연구력을 인정받아 해외 주요 대학을 비롯해 연구소, 기업 등에서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필리핀과 중국의 주요 대학 교수나 미국 주요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임용 돼 연구 활동을 이어가거나, 전자재료 분야 글로벌 기업인 캐봇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다국적 제약회사인 우시앱텍을 비롯해 국내 및 해외의 주요 기업과 연구소 등에 재직하며 근무하고 있다.
- 통합관리자
- 2021. 09. 28
- 144358
-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의학과 4학년 김유경, 민소현, 임재희 학생 '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바이러스와 가와사키병의 연관성 연구' 교내 학술대회 '영의학생학술대회' 연구 성과 결실 [2021-9-27] <영남대 의대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연구팀> (왼쪽부터 이재민 교수, 민소현, 임재희, 김유경 학생, 이영환 교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학부생들이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이 국제저명저널에 게재됐다. 이들이 이번에 발표한 논문은 ‘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바이러스와 가와사키병의 연관성 연구 (Seasonal Trends of Vir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Kawasaki Disease: A Korea Public Health Data Analysis)’다. 이번 연구에는 의학과 4학년 김유경, 민소현, 임재희 학생이 참여했으며,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이영환 교수와 이재민 교수가 지도를 맡았다.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소아에 발생하는 전신혈관염이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관상동맥의 후유증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와사키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고, 바이러스 감염이 일부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질병관리청의 보건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바이러스 감염 발생과 소아 가와사키병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영남대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연구팀은 2020년 3월부터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아질환인 혈소판감소증과 가와사키병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2020년 영의학생학술대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했으며, 국제혈액학회 및 소아심장학회에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혈소판감소증에 대한 연구는 이미 2021년 4월에 국제저명저널 <저널 오브 클리니컬 메디슨>(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영향력지수(IF)=3.303)에 게재한 바 있으며, 최근 가와사키병과 바이러스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같은 저널에 게재했다. 지도를 맡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이재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가와사키병 원인으로 바이러스 질환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연구성과를 평가하며 “소아의 가와사키병이 특정 바이러스의 유병율이 증가한 뒤 1~2개월 후에 발생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나이와 바이러스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기존에 불가능했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 “의과대학의 학생연구지원제도인 ‘영의학생학술대회’를 통해 학부생들이 1년간의 연구 성과가 2편의 국제저명학술지에 실리는 결실을 맺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의과대학 학생들이 연구논문 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연구력 향상을 위해 교내 학술대회 지원을 늘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 통합관리자
- 2021. 09. 27
- 130405
-
- 통합관리자
- 2021. 09. 27
- 129496
-
화학공학부 이기백 교수 연구팀,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초고속 충전용 배터리 개발 에너지 밀도 높고, 수명·안정성 뛰어나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 급속충전 및 대용량 전기에너지 필요한 차세대 전기차에 활용 기대 [2021-9-27] <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연구팀>(왼쪽부터 김지수 연구원, 마이클 루비라지 교수, 이기백 교수) 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이기백 교수 연구팀이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충전속도를 50배이상 끌어올린 고성능 차세대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Aluminum-Ion Battery; AIB)를 개발했다. 급속충전 및 대용량의 전기에너지가 필요한 전기차에 활용 가능한 기술로, 학계와 산업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 우수한 사이클 수명, 뛰어난 안정성과 같은 이점으로 기존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알루미늄 매장량이 풍부해 제조원가도 낮다. 알루미늄 이온은 전자 3개가 충·방전 반응에 참여한다. 전자 1개가 반응에 참여하는 리튬에 비해 부피 대비 이론 용량이 약 4배 높다. 하지만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온의 탈·삽입이 가능한 많은 활성사이트를 가지는 양극 물질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또한, 탈·삽입의 주요 물질인 테트라클로로알루미늄산염(AlCl4-) 이온의 크기가 커서 이온 확산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상업적 적용에 한계가 있다. 영남대 연구팀은 양극 물질인 흑연을 손쉬운 표면처리 공정기술을 통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 밀도를 갖는 전극재를 개발해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극복했다. 또한 초고속충전 실험을 통해 1만 사이클 동안 약 100% 효율을 보여주는 안정적인 용량 유지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을 이끈 이기백 교수는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다가(Multi-valent) 금속이온 배터리라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높다”면서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4배 높은 부피당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한정되고 대량의 전기에너지가 필요한 전기차, 전기버스와 같은 운송수단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초고속 충전과 안정한 사이클 수명을 위해 고밀도 흑연을 사용한 고성능 차세대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High-Defect-Density Graphite for Superior-Performance Aluminum-Ion Batteries with Ultra-Fast Charging and Stable Long Life)’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나노기술 분야 국제저명학술지 <나노-마이크로 레터스>(Nano-Micro Letters, 영향력지수(IF)=16.419)에 지난 8월 게재됐으며, 오는 12월 출간 예정이다. 이번 연구에는 영남대 대학원 화학공학과 김지수(석사4기) 씨가 제1저자, 마이클 루비라지(Michael Rubyraj) 교수가 공동저자, 이기백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다기능성 에너지 소재 및 촉매(Polyfunctional Energy Materials and Catalyst) 개발을 통해 차세대 이차전지(Next-generation Rechargeable Battery), 커패시터(Capacitor), 고성능·고내구성 수소연료전지(PEM Fuel Cell),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Water Electrolysis) 등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 통합관리자
- 2021. 09. 27
- 126099
-
지난 8월 정년퇴임, 캠퍼스 떠나서도 끊임없는 제자 사랑 26년간 영남대 건축학부에서 교육·연구 매진 [2021-9-24] 몸은 캠퍼스를 떠났지만, 끊임없는 제자 사랑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교수가 있어 미담이 되고 있다. 영남대학교 김철규(65, 위 사진 왼쪽에서 세 번 째) 명예교수가 제자들을 위해 장학기금 1천만 원을 기탁한 것. 김 교수는 지난 학기까지 영남대 건축학부에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한 학계 원로다. 지난 8월 31일자로 정년퇴임했지만, 캠퍼스를 떠나서도 제자들을 아끼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 24일 오후 김 교수가 최외출 영남대 총장을 찾아 제자들을 위해 써달라며 1천만 원을 전달했다. 김 교수는 “영남대 건축학부 77학번으로 입학해 학부 재학 시절은 물론, 1995년 모교 교수로 부임해 26년간 후배이자 제자들을 가르치며 대학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얻었다. 수십 년의 세월동안 영남대는 항상 저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됐다”면서 “항상 모교로부터 받은 것을 조금이나마 되돌려주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앞으로도 기회가 되는대로 모교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화답해 최외출 총장은 “재직 중에도 늘 동료 교직원들에게 모범이 되고, 제자들에게는 참스승이자 인생의 멘토로서 역할을 해 주신 김 교수님의 모습이 기억에 남아 있다. 그동안 후학 양성과 대학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도 큰데, 이렇게 퇴직 후에도 제자들을 위해 장학기금을 기부해주셔서 총장으로서 감사드린다”면서 “대학을 둘러싼 환경이 녹록지 않지만, 대학 발전을 위해 대학의 모든 구성원이 힘을 모으겠다. 앞으로도 관심을 갖고 지속적인 응원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1995년 9월 영남대 건축학부 교수로 부임한 이후, 26년간 영남대 캠퍼스에서 교육과 연구 활동을 하며 후학양성에 매진해왔다. 영남대 건축학부장과 시설관리처장을 지냈으며, (재)대구건축가협회지산장학회 이사와 경상북도개발공사 설계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최재목 철학과 교수 연구팀, 3년간 3억8천만원 지원 받아 연구과제 수행 ‘체화된 마음 연구 : 몸-뇌-세계를 중심으로’ 주제 의학·인지과학·철학·법학·영화학·미학 등 국내외 권위자 10명 공동 연구 [2021-9-17] 영남대학교 철학과 최재목 교수 연구팀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1년도 인문사회분야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최재목 교수가 이끄는 체화인지연구단은 2024년 6월까지 3억 8천만 원을 지원 받아 <체화된 마음 연구: 몸-뇌-세계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체화된 마음 이론(Theory of embodied mind)’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체화된 마음 이론’이란, 뇌 중심주의에 국한된 마음 연구를 극복하기 위한 철학 이론이다. 이미 해외 선진 학계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의학, 인지과학, 철학, 법학, 영화학, 미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국내 최초로 융·복합 연구 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연구 책임자인 최재목 교수는 “마음이란 뇌-몸-세계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산물이므로, 뇌 중심주의적 관점을 극복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연구배경을 설명하며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 모형을 개발하고, 각종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인지철학의 세계적 권위자인 숀 갤러거(Shaun Gallagher) 멤피스주립대 교수와 이영의 고려대 교수, 의철학자인 강신익 부산대 교수, 강태경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팀장, 김종갑 건국대 교수, 박길수 강원대 교수, 이상욱 동의대 교수, 정혜윤 명지대 교수, 한곽희 영남대 교수 등 10명의 연구자들이 이번 사업에 참여한다. 연구팀은 3년 간 공동 연구를 통해 체화된 마음의 다양한 특징을 연구하고 ‘체화된 마음 이론’을 사회, 문화, 예술 영역으로 확장하는 실천적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매년 ‘몸’, ‘뇌’, ‘세계’를 주제로 한 연구 총서를 발간하고, 다양한 국내외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학술대회와 워크숍, 대중 강연을 개최하는 등 학문과 사회를 유기적으로 소통시키고 통합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